무주택자를 위한 2025년 주택정책 총정리
2025년, 정부는 무주택자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강화했습니다.
청약, 세제, 금융, 임대주택 등 각 분야에서 제공되는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1. 청약 혜택
특별공급 비율 확대
- 신혼부부 특별공급: 분양 물량의 약 20% 배정, 소득 요건 완화
- 생애 최초 특별공급: 1인가구 및 신혼부부 포함, 1회만 신청 가능
- 다자녀 가구 특별공급: 3자녀 이상 가구 우선 공급
- 노부모 부양 특별공급: 부모를 3년 이상 부양한 경우 우선 청약 가능
가점제 혜택
-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 부여
-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유리
-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
2. 세제 혜택
취득세 감면
-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1.5% → 0~0.8% 감면
- 1억 5천만 원 이하 주택 구입 시 취득세 면제
양도세 비과세 혜택
- 1세대 1주택자로 2년 이상 보유 시 양도세 면제
- 조정대상지역이라도 2년 이상 실거주 시 혜택 적용
재산세 경감
- 1억 원 이하 주택 재산세 50% 감면
-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 대상 추가 감면 가능
3. 금융 지원
주택담보대출(LTV) 우대
-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LTV 80%까지 확대
- 금리 우대 적용(연 2~3%대 가능)
버팀목 전세자금대출
- 무주택자가 전세 보증금을 대출받을 때 정부 지원 금리 적용
- 최대 2억 원 대출 가능(서울 기준), 금리 연 1.8~2.4%
디딤돌 대출 (구입자금 대출)
- 무주택자가 집을 구입할 때 저금리 대출 지원
-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대상, 최대 3억 원 대출 가능
- 금리 연 2.0~3.3%
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주택도시금 홈페이지를 확인하세요 ⬇️(이미지 클릭)
4. 임대주택 및 기타 지원
공공임대주택 공급
- 행복주택: 대학생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 대상 저렴한 임대주택
- 국민임대주택: 저소득층 대상 중장기 임대 지원
- 영구임대주택: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고령층 대상
청년·신혼부부 주거 지원금
- 월세 지원: 청년 월세 최대 20만 원 지원 (소득 조건 충족 시)
- 신혼부부 전세보증금 지원: 보증금 대출이자 일부 지원
5. 신청 방법과 절차
청약: 청약홈에서 신청
https://www.applyhome.co.kr
www.applyhome.co.kr
전세자금 대출: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또는 취급은행 방문
주택도시기금
주택도시기금 소개, 주택구입(내집마련디딤돌 등), 전세자금, 월세대출, 국민주택채권, 주택청약, 신혼부부대출
nhuf.molit.go.kr
임대주택: LH 청약센터에서 온라인 신청
LH청약플러스
LH청약플러스
apply.lh.or.kr
지원금: 복지로에서 신청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
www.bokjiro.go.kr
신청 전, 자격 요건과 필요한 서류를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결론: 무주택자 혜택,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!
2025년, 정부의 주택정책은 무주택자의 주거 안정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
청약, 세제, 금융, 임대주택 등 각 분야에서 제공되는 혜택을 적극 활용하여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.
🔁 함께 보면 좋은 글
2025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총정리:LH, SH 임대주택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!
공공임대주택, 헷갈리셨죠? “영구임대, 국민임대, 행복주택, 장기전세…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!”임대주택을 검색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이름들이 나와 혼란스럽죠.특히 신청 자격, 소득 조건
smallgiant-2025.tistory.com
2025 청년·신혼부부 전세대출 조건 총정리:내 집 마련의 첫걸음, 정부 지원 전세대출로 시작
청년·신혼부부를 위한 전세대출, 왜 중요할까요?전세금 마련이 어려운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정부는 다양한 전세대출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낮은 금리와 높은 한도로 주거 안정을 지원하는
smallgiant-2025.tistory.com
2025년 취득세 감면 조건 총정리|주택 구입할 때 꼭 알아야 할 절세 방법
집 살 때 세금까지 덜컥하지만 2025년 기준, 제대로 알면 한 푼도 안 낼 수도 있다고요!이 글 하나면 올해 취득세 걱정, 싹 사라집니다. 1. 주택 구입할 때 왜 취득세를 내야 해? 취득세는 “이
smallgiant-2025.tistory.com